<비상선언>

체할 때까지 밀어 넣는 무한리필 메시지.

<비상선언>
<비상선언> 中

민족주의도 얘기하고 싶고, 희생도 얘기하고 싶고, 가족끼리의 사랑도 얘기하고 싶고, 트라우마의 극복도 얘기하고 싶고, 국가 권력의 책임도 얘기하고 싶고. 연로하신 보수 선생님의 일장연설을 듣는 기분이었다.

영화를 보기 직전, 함께 보러 간 친구가 내 <헤어질 결심> 해석을 듣고 그건 - 곧 내가 <헤어질 결심>에서 읽어낸 '서사적 전통에 관한 회의'와 '감각적 전통에 관한 회의' - 감독이 의도한 거냐고 물었다. 나는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데, <헤어질 결심>이 해석의 측면에서 훌륭한 영화인 이유는 내가 해석한 것을 담아내고 있어서가 아니라, 영화가 그리고 있는 세계와 그 세계를 구성하는 원칙들, 더불어 그 세계 속에서 살아가는 캐릭터들이 일관되어 여러 관점에서의 합리적인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.​

<비상선언>은 그 대척점에 있는 영화다. 근데 그전에 영화 자체가 심히 재미없다. 범죄 영화, 재난 영화라는 장르적 특성을 띠고 있는 이 영화는, 범인이 죽자마자 동력을 잃고 추락한다. 추락하는 날개의 양쪽에는 이병헌과 송강호라는 엔진이 있지만, 한재림이라는 기장은 멱살 잡고 이 비행기를 곤두박질치게 만든다. 한재림 기장은 전도연, 김남길 등의 훌륭한 배우들을 그냥 승객으로 만들어버린다.

영화 속 인물들은 도구적으로 소모된다. 한 명도 빠짐없이 그렇다. 이는 생동하는 캐릭터에서 메시지가 따라나오는 게 아니라, 메시지를 전하기 위한 도구로서 캐릭터가 이용되기 때문이다. 물론 뭐가 더 중요한지는 영화에 따라, 주안점에 따라 다를 것이다. 캐릭터를 도구로 해서라도 메시지를 전해야 하는 영화도 분명 있다. 하지만 <비상선언>이 그래야 하는 영화였는가, 또 그래서 좋은 메시지를 잘 전달했는가에 나는 부정적이다.

동시에 이 영화 속 세계는 일관성이 없다. 왜 굳이 김해 공항이 아니라 나리타 공항으로 가는가? 자위대가 민항기에 총질하는 게 말이 되는가? 어떻게 치료제의 효과에 관해 한국 정부보다 일본 정부가 먼저 아는가? 치료제의 효과가 의심되어 입국을 막았는데, 환자 한 명에게 단기적 효과를 좀 보였다고 입국을 허가할 수 있나? 가족과 친구들을 위해 대한민국에 내리지 않겠다는 그 비행기는 그럼 어디로 갈 건가, 미사일 맞고 사라지겠다는 소리인가? 엉성하다 못해 말도 안 되고 조잡한 이 세계는 영화를 보는 내내 한숨만 나오게 했다.

아이의 입을 빌려 전체주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게 너무 위험했다는 사람들의 평이 있었다. 사실 미처 그 부분까지는 생각하지 못했다. 그냥 그 메시지가 말도 안 되는, 어불성설이라고 생각해서 한숨만 땅이 꺼져라 쉬고 있었기 때문이다. 돌아보니, 영화가 전체적으로 그랬지만, 특히 그 부분은 메시지와 메신저 모두 최악이었다.

극장이나 영화관에 '갇혀있다'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. 이번이 정확히 그랬다. 에어컨 값이라고 생각하련다.


이 글이 좋았다면 커피 한 잔 값으로 그 마음을 표현해 주세요.
작은 격려가 다음 글을 쓰는 이유가 되어 줍니다.
후원은 블로그 운영비를 제외하고 전액 한국백혈병소아암협회에 기부됩니다.

커피 한 잔 후원하기